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딥시크(DeepSeek), 어떤 사람이 만들었는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미국의 빅테크들도 긴장하고 있는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창업자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량원펑(梁文锋)은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창업자이자 CEO로, 최근 AI 기술 혁신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물입니다. 1985년 중국 광둥성에서 태어난 그는 어릴 적부터 기술에 남다른 관심을 보였습니다. 명문 저장대에서 전자정보공학 학사와 정보통신공학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량원펑은 AI와 금융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출처 : 위키백)
량원펑梁文锋본명로마자 표기출생성별국적학력경력직업소속
량원펑 |
Liang Wenfeng |
1985년 중국 광둥성 잔장 |
남성 |
중국 |
저장대 정보전자공학 학사, 석사 |
하이-플라이어 헤지펀드 설립자, 딥시크 설립자 |
전기공학자, 기업가 |
딥시크 |
(사진출처 : 차이나토크)
2008년 리먼브라더스발 금융위기 시기에 량원펑은 친구들과 함께 머신러닝을 활용한 퀀트 트레이딩을 연구했습니다. 이후 그는 청두의 저렴한 아파트로 이사해 금융에 AI를 적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했고, 2016년 대학 동기 두 명과 함께 AI와 수학에 의존해 투자를 진행하는 헤지펀드 회사 '하이 플라이어(High-Flyer)'를 설립했습니다. 하이 플라이어는 AI를 투자 전략에 발 빠르게 적용하여 큰 성과를 냈으며, 현재 운용 자산은 약 80억 달러에 달합니다 량원펑은 2023년 5월에 딥시크를 창업했으며, 딥시크는 저비용으로 고성능 AI 모델을 개발하여 주목받고 있습니다. 딥시크의 연구팀은 대부분 중국 명문대 출신의 젊은 인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업무 경험보다는 기술적 능력을 우선으로 채용하여 신선한 시각을 가진 고도로 숙련된 팀을 구성했습니다.
딥시크는 첫 오픈소스 모델 '딥시크 코더'를 시작으로, 2024년에는 더 진화된 '딥시크-V3'와 최신 모델 '딥시크-R1'을 선보였습니다. R1은 2024년 AIME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오픈AI의 모델을 앞서는 성과를 기록하며 세계적 관심을 받았습니다. 딥시크의 성과는 제한된 자원으로도 가능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습니다. 딥시크-V3 개발에 약 78억 원을 투입해 메타의 AI 개발 비용 대비 10분의 1 수준으로 효율성을 입증했습니다.
량원펑은 AI 연구에서 상업적 이유보다는 기초 연구와 인간 지능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더 큰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 그는 AI 기술 혁신과 그 의미에 대한 철학과 비전을 드러내며, 기술 혁신을 틈타 폭리를 취하는 것이 딥시크의 목적이 아니며, AI의 혜택을 모두가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량원펑은 "우리 원칙은 밑지지 않되 폭리를 취하지도 않는 것이다. 현 가격도 원가에서 약간의 이익을 본 수준"이라고 말하며, AI 기술의 보편적 혜택을 강조했습니다.
량원펑은 또한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글로벌 혁신의 물결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말하며, 중국 기업들이 기술 혁신의 최전방으로 나아가 전체 생태계의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그는 미국이 기술 혁신에서 앞서가고 중국은 후발주자로 이를 응용하는 데 능하다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량원펑은 응용보다는 연구와 기술혁신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으며, 자사 AI 모델의 오픈소스 공개를 고집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확고한 견해를 밝혔습니다. 그는 "오픈소스와 논문 발표로는 아무것도 잃지 않는다. 기술자들로부터 팔로우 당하는 것에는 큰 성취감이 따른다"며, 오픈소스는 상업적 행위보다는 문화적 행위와 비슷한 것으로 추가적인 명예라고 언급했습니다.
량원펑은 AI 기술 혁신을 통해 중국이 글로벌 AI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그의 리더십과 비전이 앞으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딥시크의 성공은 AI 업계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세계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렇게 량원펑과 딥시크는 AI 기술 혁신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의 연구와 개발이 기대됩니다.
'배당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모주]신규 상장주 ‘심플랫폼’ 분석 – 기대와 리스크 (4) | 2025.03.20 |
---|---|
[공모주]한텍 IPO 분석: 기업가치 평가부터 상장일 투자 전략까지 (3) | 2025.03.19 |
티엑스알로보틱스 공모주 회사 개요 및 기업가치 분석 (6) | 2025.03.19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공모주 분석: 사업 모델, 공모 개요, 투자 리스크 및 전망 (10) | 2025.03.18 |
한국피아이엠 공모주 분석: 기업 개요부터 투자 리스크까지, 투자해야 할까? (2)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