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입문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기초 용어’ 정리!

by 돈 비 2025. 4. 14.

“배당으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고 싶은데… 주식 용어부터 너무 어렵다구요?”
이 글에서는 주식 초보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용어들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지금부터 탄탄한 투자 기초를 쌓아볼까요? 

 
 
주식 투자, 특히 배당주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정확한 용어 이해가 매우 중요합니다. 기초가 튼튼해야 안정적인 수익 흐름도 가능한 법! 지금부터 주식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용어들을 쉽게 풀어드릴게요.

삼성전자로 배우는 주식 용어 쉽게 이해하기

1. 주식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소유권 증서입니다. 주식을 사면 그 기업의 ‘일부 주인’이 되는 것이죠.
 
삼성전자의 주식을 한 주 산다는 건, 삼성전자의 일부를 소유하게 되는 것. 이 주식을 보유하면 주가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도 노릴 수 있고, 배당금도 받을 수 있어요.

2. 배당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입니다. 배당주를 꾸준히 보유하면 정기적으로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어요.
✔ 관련 용어:

  • 배당수익률: 배당금 ÷ 주가 × 100. 예) 주가 10,000원, 배당금 500원이면 수익률 5%.

삼성전자는 매년 현금배당을 지급해요.
예를 들어, 2024년 기준 삼성전자의 주당 배당금이 1,440원이고, 현재 주가가 75,000원이라면:

배당수익률 = 1,440 ÷ 75,000 × 100 = 약 1.92%

즉,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만으로 연 1.92%의 현금 수익이 생긴다는 뜻이에요.

3. PER (주가수익비율)

주가가 그 기업의 이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냅니다.
공식: 주가 ÷ 주당순이익(EPS)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주식일 가능성이 있어요.
 
2024년 삼성전자의 **EPS(주당순이익)**이 5,000원이라고 가정하면, 현재 주가 75,000원 기준:

PER = 75,000 ÷ 5,000 = 15

PER이 15라는 건, 투자자가 이익의 15배 가격에 주식을 사고 있다는 의미. 일반적으로 PER이 너무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 가능성이 있어요.

4. PBR (주가순자산비율)

회사의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인지 보는 지표입니다.
공식: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2024년 삼성전자의 **BPS(주당순자산가치)**이 40,000원이라고 가정하면, 현재 주가 80,,000원 기준:
PBR =80,000 ÷ 40,000 = 2

PBR이 2라는 건, 투자자가 자산의 2배 가격에 주식을 사고 있다는 의미. 일반적으로 PBR이 1보다 작으면 자산대비 저평가, 1보다 크면 자산대비 고평가 가능성이 있어요.

5. ETF (상장지수펀드)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된 상품을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게 만든 것.
예시: 고배당 ETF는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삼성전자를 포함한 고배당주에 분산 투자하고 싶다면,
👉 예시: KODEX 배당성장 ETF
이런 ETF는 삼성전자 같은 우량 배당주를 다수 포함해, 리스크를 줄이면서 꾸준한 배당을 노릴 수 있어요.

6. 시가총액

한 기업의 전체 주식 수 × 주가.
기업의 규모를 판단하는 기본 지표로 사용됩니다.
 
삼성전자의 전체 주식 수가 약 60억 주, 주가가 75,000원이라면:

시가총액 = 60억 × 75,000 = 450조 원

즉, 삼성전자는 한국 시가총액 1위 기업이에요. 이 수치로 기업의 규모와 시장에서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어요.

7. 우량주 vs. 성장주

  • 우량주: 안정적이고 배당이 꾸준한 기업
  • 성장주: 빠른 성장을 기대하지만 변동성이 큰 기업
  • 삼성전자 = 대표적인 우량주
    실적이 안정적이고 배당도 지급하므로 보수적인 투자자에게 적합.
  • 반면, 성장주는 예를 들어 2차전지 관련 스타트업처럼 아직 실적은 약하지만 성장 가능성이 큰 종목들이에요.

8. 분산 투자

한 종목에 몰빵하지 않고 여러 자산에 나누어 투자해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입니다. 특히 은퇴 후 안정적 수익을 원한다면 필수!
 
삼성전자만이 아니라, 삼성전자 + 리츠 + 고배당 ETF + 미국 배당주처럼 여러 자산을 섞어 투자하면 변동성을 낮추고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만들 수 있어요.
 
 

마무리 

삼성전자 하나만 봐도 주식 용어들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하기 쉬워졌죠?
초보 투자자일수록 익숙한 종목을 기준으로 용어와 개념을 익히는 게 정말 중요해요.
이제 여러분도 배당 중심의 투자에 한 걸음 더 가까워졌습니다!
 
주식은 용어부터 낯설 수 있지만, 하나씩 이해하다 보면 훨씬 자신감 있게 투자할 수 있어요. 특히 배당을 통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원한다면, 오늘 소개한 용어부터 꼭 익혀보세요!
 
👉 더 알아보기: 초보자를 위한 배당 투자 가이드